URL : http://msdn.microsoft.com/ko-kr/library/zxt206sk(v=vs.80).aspx 'class' : 추상 클래스를 인스턴스화할 수 없습니다. 'class' : cannot instantiate abstract class 라는 에러가 발생. 클래스의 상속문제에서 생기는 현상. virtual 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파생된 클래스에서 정의를 꼭 해주면 된다. 테스트 코드를 실행해보았으나. 위의 URL 이 더 훌륭하기에. 난 빠빠!
휴. Project - clean 을 해도 안될 때, C:\Users\vbflash\.android 를 찾아가자. 그리고 .android 폴더를 삭제 하고 다시 실행시키자. 된다. 근데....ubuntu 는 ...??? 어떻게 해결하지???? 검색하니 안나오는데...., http://blog.naver.com/jwjcorea?Redirect=Log&logNo=150127163775
error LNK2005 혹시...저렇게 되서....이블로그를 찾아오신분!! 정말 초보이시거나,,, 너무오랫만에...본거라 뭔지 까먹으신 분이라 생각 됩니다. -_-... 일단,,, 다른 블로그를 가보셨다면, 아시겠지만 원인은 , 헤더나, cpp 파일안에서 중복되는 변수가 있다는 것 입니다. 전 바보같이 main() 문이 두개나 있는줄 몰랐네요.. 일단 남의 소스를 사용하는 터였기에....확인안하고 삽질했네요~♡
// 팩토리얼 http://blog.naver.com/wook1379?Redirect=Log&logNo=150006457013 http://cafe.naver.com/rnjstpdufsla.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151 http://cafe.naver.com/ithack.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2648 http://cafe.naver.com/rnjstpdufsla.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121 포인터 밸류, 메모리주소 http://cafe.naver.com/neosafe.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
참조 URL : http://cafe.naver.com/visionjx/7 현재 파일을 올리고 있는 중인 것 같습니다. 만약에 클래스가 계속해서 뜨지 않으면 다음과 같이 하세요. 1. VC를 종료합니다. 2. 프로젝트 폴더에 있는 다음 파일을 지웁니다. xxx.plg xxx.opt xxx.clw xxx.ncb 3. xxx.dsw를 더블클릭해서 VC 프로젝트을 오픈합니다. 4. 메뉴의 [view->class ward]를 클릭합니다. 5. Add All를 선택합니다. 6. 확인을 선택합니다. 7. 저장합니다. 그러면 예전의 모습을 볼 수 있을 겁니다. 수고하세요.
발발 MFC랑 API 랑 동시에 작업을 하다가 생기는 문제점 example e:\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vc98\mfc\include\afxv_w32.h(14) : fatal error C1189: #error : WINDOWS.H already included. MFC apps must not #include 위에 증거 사진을 보면 Console.cpp 다음에 에러가 난다. 에러난 위치를 정확히 알려주지 않으면 저런씩으로 디버깅을 하면된다. 즉,, 저파일을 컴파일 하는데 에러가 뜨니깐, 출력창에 VS가 출력을 해주는 것이다. ㅇㅋ? 그럼,,,, 그쪽 파일에가서 #include "stdafx.h" 파일을 추가해준다. 당연!! API 에서 사용하..
An unsupported operation was attempted 이유? 간단명료! MFC 다이얼로그에서 Edit 박스를 만들구나서 그냥 Delete 로 삭제하는 바람에 DDX가 연결이 안되니 뜨는 메시지 창이다. 해결방법은 간단하다. 아시다시피! 자기가 직접 만들었으니, 삭제도 간편 하니깐! 방법만 설명 한다. 1. 해당 다이얼로그 *.h 로 간다. 해당 다이얼로그에서 삭제한 Edit 박스와 연결된 변수들을 주석처리한다. (완료가 된 이후에 주석처리한 명령라인을 지우길 바람 - 에러나면 어떻게 하려구?) 2. 해당 다이얼로그 .cpp 로 간다. 초기화, DDX셋팅 관련된 부분에 주석처리를 한다. 3. 기타 타 클래스에서 값을 주고 받고 하게되는데 그 루틴을 삭제한다. 4. 만약, INI, text ..
Run-Time Check Failure #2 - Stack around the variable 'abc' was corrupted. 인터넷을 검색 해본 결과. 몇몇가지... 가 떳다!! 1. string 에 문자를 넣을 때 나오는 에러란다. 2. string 의 사이즈가 잘못되었다. 난 strig 이란 자료형을 쓰지 않으므로 아닐꺼라 예상하였다. 그리하여 더 검색한 결과 2번이 잘못이였다. char 형의 배열의 크기를 조금더 늘려주니 실시간 에러는 사라졌다. 1번 문제 http://blog.naver.com/cysatan?Redirect=Log&logNo=10056764235 2번 문제 http://mynotepad.tistory.com/87
_@ http://devdev.tistory.com/351
URL : http://www.tomatowax.com/ZeroboardXE/7349 Visual C++ & Warning LNK4099 : PDB 1. 개요 VC++ 환경에서 외부 라이브러리를 링크하면 가끔 LNK4099 워닝이 발견될 수 있습니다. LNK 에 적혀있듯이 이것은 링크와 관련된 워닝입니다. LNK4099 워닝은 해당 라이브러리가 디버그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디버깅 정보를 생성하였는데 생성된 디버깅 정보가 라이브러리 혹은 외부에 .pdb 파일로 어플리케이션에 전달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워닝입니다. 보통 warning LNK4099: '*.pdb' PDB was not found 와 같은 형태로 워닝이 출력되며, 사용자는 이를 무시할 수 있습니다. 이 워닝은 단순하게 링크한 라이..
Visual C++ 7.0 이상부터 컴파일이 warning C4311 ,warning C4312 가 발생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내용은 type cast 될때 포인터가 잘린다는 내용인데 VC++ 6에서는 발생하지 않았었다. 이는 컴파일러에서 64비트 환경에서는 문제가 된다는 경고 이다. 이러한 경고를 없애기 위해서는 프로젝트 속성에서 "64비트 이식성 문제점 검색" 기능을 "아니요"로 하면 된다. Visual Studio 2005 환경에서 설정 모습 자세한 사항은 MSDN 에서 확인 !! http://support.microsoft.com/kb/329343
VC6에서는 에러 안났는데 2005로 컴파일 하면 워닝이 뜸 -.-;; (deprecated) 경고 2 warning C4996: 'sprintf'이(가) deprecated로 선언되었습니다. d:\data\tsource\mfclog\mfclog.cpp 108 deprecate 뜻을 몰라 찾아봤다. deprecate : ~을 옳지 않다고 역설하다., 계획 따위에 반대하다. MS는 하기 왼쪽에 있는 함수들을 옳지않다고 생각하고 있나보군 -.-;; MS에는 밑에 같이 쓰면 저 워닝은 표시안다고 했는데 잘안된다. #define _CRT_SECURE_NO_DEPRECATE 1 밑에 같이 써주면 워닝이 표시되어지지않는다. #pragma warning(disable:4996) 워닝이 표시되어지지않는다고 문제가 해결..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